결국, 스마트폰이 세상을 바꾸는 게 아닐까?
인도에서는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3500만명이 적다고한다.
여성들이 태어나기도 전에, 태어나자 마자, 태어나고서 얼마의 기간 안에
살해당하기 때문이다.
설령 운이 좋아 무사히 성장한 여성들이라고 해도,
인도 여성은 인생의 거의 모든 단계에서 불평등에 직면한다.
교육, 의료, 노동에서 소외당하고, 일상 속에서 폭행당한다.
결혼에서는 지참금 제도로 희생과 굴종을 강요받는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결과
인도 남성의 51퍼가 특정 상황에서는 아내에 대한 폭행이 정당화 될 수 있다고 여긴다.
놀랍지만, 놀라운 일이 아니다.
기득권이 기득권을 지기키 위해 폭력을 정당화 하는 일이란 인류 문명사에 익숙한 일이니까.
다만, 놀라운 것은 이것이다.
인도 여성의 54퍼센트가, 아내에 대한 남편의 폭력에 동의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도 놀랍지만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
피해자가 피해의 구조 속에서, 피해에 익숙해지고 피해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일은 적지 않으니까.
그러나 그 폭력의 수가 매년 10만명의 여성이 화재로 사망한다는 기이한 통계를 만나면
그렇게 받아들이기가 괴롭다.
이들 중의 상당수는 신부화형이나 명예살인, 여타의 남성 폭력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정도면 학살이 아닌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 정부도, 국제 기구도, 국제 인권단체와 시민단체도 애썼다.
캠페인을 하고 돈을 주고 신고를 하고 소송을 했다.
주장하고, 설득하고, 이해하고, 설명하고, 공감하고, 분노하며, 메시지를 전하고 맞서서 싸웠다.
더러 승리했으나, 대부분 실패했다.
실패의 원인은 간단했다.
피해자 여성이 자신의 피해를 주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피해자 여성이 자신을 인격체로, 인권체로, 남성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한 인식을 넓혀나가는 데에서 늘 실패했다.
그런데 이것을 해 낸 것이 있었다.
정부도, 국제기구도, 국제 인권단체와 시민단체도 아니었다.
그들의 주장도, 설득도, 이해도, 설명도, 공감도, 분노도, 메시지도 아니었다.
그것은 텔레비젼이었다.
인도에 텔레비젼이 보급되면서 사회학자들이
텔레비젼이 보급된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의 여성 인권 실태에 대해 조사했다.
핵심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출산율을 보이기 시작했다.
여성을 학교에 보내는 비율이 높아졌다.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다는 설문 응답의 비율이 높아졌다.
여성 존중과 여성 동등의 문화와 가치가 전달된 것이다.
테레비젼이 해 낸 것이다.
두 가지의 질문이 떠올랐다.
하나. 인간의 감정은 결국, 학습되는 것이 아닌가?
인간은 감정의 프로그램을 학습받아 감정을 표현하게 되는 사회적 감정의 기계가 아닌가?
헬렌 올로이 소설 토론을 하면 늘 나왔던 주제. 로봇의 감정은 인간의 감정과 같은가에 대한 논의.
그렇다면 감정은 어떻게 학습되는 것일까?
그 중에서도 '분노'는 어떻게 학습되는 것일까?
대개의 인간은 당연하다 여기는 것이 당연하지 않다고 하는 것과 만나면 증오를 품게 되는데,
이 무지성의 '당연함'을 어떻게 탐구하게 할 수 있을까?
둘. 인간을 변하게 하는 것은 결국, 디바이스가 아닌가?
인도의 여성을 변화시킨 것은 결국, 텔레비젼이라는 디바이스였다.
세계의 인간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은 결국, 스마트폰이라는 디바이스가 아닐까?
스마트폰을 이어가는 디바이스는 무엇일까?
결국, 스마트 글래스가 아닐까?
인간이 받아들이는 정보의 90퍼가 시각에 의존한다.
시각을 점령하는 디바이스가 등장할 수 있다면,
이 디바이스가 바꾸어 나갈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이 디바이스가 전하는 인간과 환경과 우주에 대한 문화, 철학, 개념은 무엇일까?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835104
출처: https://dasidasi.tistory.com/entry/결국-스마트폰이-세상을-바꾼다 [교사가 지치지 않는 수업]
'타이탄의 어깨 #그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억을 벌기 위해 반드시 대답해야 할 것들. (0) | 2022.04.19 |
---|---|
코로나 이후, 다시 시작된 인간들의 전쟁. 변수가 늘어나고 있다. (0) | 2022.04.18 |
잡스. 팀쿡. 엘런. 제품과 시스템을 모두 혁신한 인물은? (0) | 2022.04.17 |
독서교육으로 금융교육 하기 (0) | 2022.01.20 |
'금융교육'으로 '독서교육'하기 (1)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