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플레이션2 비트코인의 한계는 200-300퍼? 비트코인의 성장은 이제 한계가 명확한 건 아닐까 짐작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비트코인은 화폐(현금)를 대체할 수 없을 것 같다. 비트코인은 금을 대체하는 상품의 성격을 지닐 것 같다. 비트코인은 이더리움과 함께 금이 차지한 시장의 2/3을 차지할 듯하다. -----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먼저 명확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은 이것이다. 화폐의 가치는 17년마다 50퍼씩 하락한다. 화폐는 영원하지 않다. 화폐의 가치는 하락한다. 이걸 먼저 뺨을 열 대 싸다구를 맞는 수준으로 명확하게 정신차리고 인식해야 한다. 내가 지금 100만원의 현금을 갖고 있으면, 대략 20년 후 이것은 50만원의 가치로 떨어지고, 40년후 이것은 25만원이 되며, 60년 후 이것은 12만 5천원이 된다. 내 손에 들고 있는 현금 10.. 2021. 11. 28. 금리 3~4%까지 인상된다?…움추러든 뉴욕 증시_[출처]한경글로벌마켓 기준금리가 3~4%로 인상된다는 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금리를 올리면 누가 가장 수혜를 볼까? 연준을 가지고 있는 씨티은행일까? 당연히 금융관련 회사들이 이익을 볼 것이다. 연준 입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을 무기로 금리를 올려 이득을 챙기려는 속셈일까? 여하튼 충분히 당위성을 갖고 금리를 올릴 명분이 생긴 것이다. 기준 금리 인상으로 미국 국채가 상승한다는 건 연준 입장에서 그동안 매집했던 보유자산을 높은 가격에 팔 수 있다는 이야기다. 미국 입장에서는 국채 이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부담이 가중된다. 국가 채무가 증가한다는건 세금을 더 많이 거둬들여야 한다는 거고, 바이든 행정부 입장에선 매우 큰 부담일 것이다. 물론 부자증세 카드를 꺼내 국민들 여론을 잠재우고 있지만, 테슬라 주식을 팔아서 세금.. 2021. 11. 17. 이전 1 다음 반응형